아쿠아스포츠입문 수중생리학(심혈관계, 신장계,근골격계, 순환계, 보그스스케일)
페이지 정보

본문
수중운동에 대한 대부분의 반응과 적응이 지상에서 실시한 운동의 그것과 질적으로 비슷하지만, 중요한 양적 차이(quantitative difference)는 수중오락(water recreational), 치료, 그리고 재활 활동 프로그램(rehabilitative activity program)에 대한 운동 처방(exercise prescription)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최대하(submaximal) 수중운동 시 혈중 젖산의 축적은 절대 및 상대적으로 동일한 강도로 지상에서 비교 가능한 운동을 할 때보다 적거나, 같거나, 또는 증가할 수 있다.
수중 침수 시 심장으로 향하는 정맥 순환을 증가시키고, 운동에 대한 심혈관 반응(cardiovascular response)을 변화시킨다. 직립 자세에서 최대하(submaximal)로 운동을 실시 할 때 박동량(stroke volume)과 심장출력은 증가하고, 높은 강도(at higher intensities)의 운동에서는 심박동률이 동일한 산소섭취량의 지상 운동 때 보다 감소한다. 평균 10% 정도 낮다.
심박동률과 산소섭취량의 관련성은 변화가 많고, 운동 강도, 운동방법(exercise mode), 그리고 수심과 온도 등에 따라 다르다. 어떤 vo2에 해당하는 심박동률은 수중운동 시 자주 감소하기 때문에 수중운동의 강도를 처방하거나 조정할 때 심박동률 사용에 이점을 고려해야 한다.
땀의 증발(evaporation of sweat)은 물에서 일어나지 않고, 물의 높은 열전도성과 비열(specific heat)은 획득(생산)한 열을 전도나 대류(conduction and convection)를 통해 체외로 빨리 방출한다. 수온에 따라 신체의 중심 온도는 감소, 동일, 또는 증가 된다.
입수 동안 심박수는 많은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고 변수가 크기 때문에 운동 강도를 심박수로 체크 하기 보다는 보그의 운동자각도(RPE)가 더욱 유용하다. 폐활량의 감소는 흉부 혈액량의 감소와 호흡근의 유체학적인 힘의 약화로 횡경막이 위로 향하기 때문에 들숨의 어려움이 발생되지만 이는 좋은 트레이닝 환경으로 사용할 수 있다.
최대하(submaximal) 수중운동 시 혈중 젖산의 축적은 절대 및 상대적으로 동일한 강도로 지상에서 비교 가능한 운동을 할 때보다 적거나, 같거나, 또는 증가할 수 있다.
수중 침수 시 심장으로 향하는 정맥 순환을 증가시키고, 운동에 대한 심혈관 반응(cardiovascular response)을 변화시킨다. 직립 자세에서 최대하(submaximal)로 운동을 실시 할 때 박동량(stroke volume)과 심장출력은 증가하고, 높은 강도(at higher intensities)의 운동에서는 심박동률이 동일한 산소섭취량의 지상 운동 때 보다 감소한다. 평균 10% 정도 낮다.
심박동률과 산소섭취량의 관련성은 변화가 많고, 운동 강도, 운동방법(exercise mode), 그리고 수심과 온도 등에 따라 다르다. 어떤 vo2에 해당하는 심박동률은 수중운동 시 자주 감소하기 때문에 수중운동의 강도를 처방하거나 조정할 때 심박동률 사용에 이점을 고려해야 한다.
땀의 증발(evaporation of sweat)은 물에서 일어나지 않고, 물의 높은 열전도성과 비열(specific heat)은 획득(생산)한 열을 전도나 대류(conduction and convection)를 통해 체외로 빨리 방출한다. 수온에 따라 신체의 중심 온도는 감소, 동일, 또는 증가 된다.
입수 동안 심박수는 많은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고 변수가 크기 때문에 운동 강도를 심박수로 체크 하기 보다는 보그의 운동자각도(RPE)가 더욱 유용하다. 폐활량의 감소는 흉부 혈액량의 감소와 호흡근의 유체학적인 힘의 약화로 횡경막이 위로 향하기 때문에 들숨의 어려움이 발생되지만 이는 좋은 트레이닝 환경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이전글해부학 인체의 3개면 6개동작 23.02.08
- 다음글수심에 따른 수중 운동 23.02.08
댓글목록
